'200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년 4월 14일 (0) | 2006.08.30 |
---|---|
2005년 4월 13일 (0) | 2006.08.30 |
2005년 4월 3일 - 1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3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2005년 4월 14일 (0) | 2006.08.30 |
---|---|
2005년 4월 13일 (0) | 2006.08.30 |
2005년 4월 3일 - 1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3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2005년 4월 13일 (0) | 2006.08.30 |
---|---|
2005년 4월 3일 - 2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3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4월 3일 - 2 (0) | 2006.08.30 |
---|---|
2005년 4월 3일 - 1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3월 20일 (0) | 2006.08.30 |
2005년 4월 3일 - 1 (0) | 2006.08.30 |
---|---|
2005년 4월 2일 - 3 (0) | 2006.08.30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3월 20일 (0) | 2006.08.30 |
2005년 2월 27일 (0) | 2006.08.28 |
광복 60주년을 기념하는 무궁화 나무 심기가 한반도 지형 전망대 앞에서 있었습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규탄대회도 열렸습니다.
더 자세한 소식은 '무궁화 소식' 카테고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2005년 4월 2일 - 3 (0) | 2006.08.30 |
---|---|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2005년 3월 20일 (0) | 2006.08.30 |
2005년 2월 27일 (0) | 2006.08.28 |
2005년 1월 30일 (0) | 2006.08.28 |
선암마을 서강에서 섶다리 축제가 열렸습니다.
섶다리 축제 관련 사진은 추후 섶다리 카테고리에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2월 27일 (0) | 2006.08.28 |
2005년 1월 30일 (0) | 2006.08.28 |
2005년 1월 23일 (0) | 2006.08.28 |
조용하던 마을이사진작가들의 끊이지 않는 발길로 활기가 넘치는 것 같습니다.
고향을 지킨다는 것, 우리 전통 생활 양식을 지킨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보다 편한 곳으로 이주하고
좀더 편리한 생활 환경으로 바꾸어 가는 것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이라고 봅니다.
힘은 들었지만 이렇게 해 놓고 보니 참 좋은것 같습니다.
섶다리를 처음 본다는 사람
말만 들어 봤다는 사람
섶다리를 건너면서 그저 신기해 합니다.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3월 20일 (0) | 2006.08.30 |
2005년 1월 30일 (0) | 2006.08.28 |
2005년 1월 23일 (0) | 2006.08.28 |
선암마을에 섶다리가 놓여졌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전국에서 많은 사진작가들이 한반도 지형과 선암마을 섶다리를
찾아 아름다운 비경을 담느라 연일 북적거립니다.
아이들은 얼음판에서 썰매를 타고
섶다리가 있는 풍경은 우리 모두의 고향처럼 여겨집니다.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3월 20일 (0) | 2006.08.30 |
2005년 2월 27일 (0) | 2006.08.28 |
2005년 1월 23일 (0) | 2006.08.28 |
선암마을에서 한반도지형으로 연결하는 섶다리를 놓느라 마을 분들이 분주합니다.
섶다리는 Y형 참나무를 거꾸로 세워 다리발로 놓고그 위에 낙엽송 같은것으로
얼개를 만든다음 송판으로 고정하고 솔가지를 얹었습니다.
솔가지 위에는부직포를깔고 흙을 부어서완성시켰습니다.
옛날에는 부직포 대신 잔디를 거꾸로얹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잔디가 거꾸로 자라면서 다리위에 얹은 흙을 지탱해 주는 원리라고 합니다.
영월은 강이 많아 예로부터 섶다리가 없는 마을이 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섶다리를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천면 판운리에서 해마다 섶다리를 놓아관광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고
2004년 부터는주천시내에도쌍섶다리를 놓고, 제1회 쌍섶다리 축제가 열려
관광객은 물론 전국의 사진작가들로 부터 큰 인기를 얻은바 있습니다.
2005년 4월 2일 - 2 (0) | 2006.08.30 |
---|---|
2005년 4월 2일 - 1 (0) | 2006.08.30 |
2005년 3월 20일 (0) | 2006.08.30 |
2005년 2월 27일 (0) | 2006.08.28 |
2005년 1월 30일 (0) | 2006.08.28 |
한반도 지형에도 선암마을에도 단풍이 짙어갑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이렇게 빈 깡통을 두고 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버리는 사람, 줍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것은 한번쯤 생각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
특히 담배 꽁초는 소중한 우리 산림을 한순간에 잃게 할 수도 있습니다.
2007년 10월 9일 (0) | 2007.10.24 |
---|---|
2004년 10월 10일 (0) | 2006.08.28 |
2004년 9월 5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28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8일 (0) | 2006.08.27 |
오솔길이 새로 나고
그 길을 가는 중간에
누군가가 돌 탑을 쌓았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돌탑쌓기는 소원을 이루는 것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찰 근처에는오고 가는 사람들이 쌓아 놓은돌탑이 한 두개 쯤은 꼭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반도 지형에도 돌탑이 생긴걸로 봐서 누군가가통일된 한반도지형을
예사롭지 않게 여겨 정성껏 쌓아 올린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렴 어떻습니까.
오고 가는 길에 작은 돌 하나 돌탑 위에 살포시 얹어 보세요.
2007년 10월 9일 (0) | 2007.10.24 |
---|---|
2004년 10월 31일 (0) | 2006.08.28 |
2004년 9월 5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28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8일 (0) | 2006.08.27 |
한반도 지형에 전망대 설치작업이 한창입니다.
이제 안전하게 한반도 지형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04년 10월 31일 (0) | 2006.08.28 |
---|---|
2004년 10월 10일 (0) | 2006.08.28 |
2004년 8월 28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8일 (0) | 2006.08.27 |
2004년 7월 25일 선암마을 (0) | 2006.08.09 |
2004년 10월 10일 (0) | 2006.08.28 |
---|---|
2004년 9월 5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8일 (0) | 2006.08.27 |
2004년 7월 25일 선암마을 (0) | 2006.08.09 |
2004년 5월 26일 (0) | 2006.08.07 |
2004년 10월 10일 (0) | 2006.08.28 |
---|---|
2004년 9월 5일 (0) | 2006.08.27 |
2004년 8월 28일 (0) | 2006.08.27 |
2004년 7월 25일 선암마을 (0) | 2006.08.09 |
2004년 5월 26일 (0) | 2006.08.07 |
출처 : http://weekly.hankooki.com/lpage/culture/200506/wk2005060117490437990.htm
[주말이 즐겁다] 영월 서강
'한반도' 휘도는 물줄기 哀史를 품어 푸르른가
산태극 수태극이 빚은 자연의 경이로운 조화
![]() |
“와, 정말 똑 같아요! 동해, 남해, 그리고 서해의 갯벌까지….”
강물을내려다보던 사람들은 누구라 할 것 없이 모두 감탄사를 내뱉는다. 한반도의 근간인 백두대간의 짙고 높은 숲과 짙푸른 동해, 썰물 때면 드러나는 자랑스런 서해의 갯벌, 해남의 땅끝, 그리고 호랑이 꼬리까지…. 이는 산과 강이 서로 껴안고 휘돌아 가면서 엮어낸 자연의 선물임이 분명하다. 자연의 경이로운 조화 앞에서 통일의 염원을 빌어본다.
‘한반도 지형’ 펼쳐진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 동쪽에 자리하고 있는 마을은 선암마을이다. 다른 주변엔 마을이 없으므로 선암마을 주민들이 곧 한반도 주인인 셈이다. 선암마을은 한반도지형으로 알려지기 전에는 한적한 강마을일 뿐이었다. 물론 지금도 10여 가구의 주민들은 대부분 농사를 지면서 살고 있다.
산 깊은 강마을인데도 여름이면 피서객들이 많이 몰려든다. 마을 앞 강변에 호박돌과 잔돌들이 적당히 깔려 있어 인기가 있다. ‘동해’에 속하는 강 건너편은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가파른 뼝대(벼랑)가 솟아있어 절경을 이룬다. 강물엔 피라미, 쉬리, 꺽지도 있고 가끔 쏘가리도 눈에 띈다고 한다. ‘백두대간’이라 할 수 있는 능선에는 한여름에도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 큰 석회암 구멍바위가 있는데, 마을 전설에 따르면 이 바위 때문에 동네처녀가 바람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지금이야 한반도 지형 덕에 도로가 닦이면서 차량으로도 통행할 수 있지만, 5년 전까지만 해도 나무로 만든 섶다리나 줄배로 건너야 갈 수 있는 한적한 강마을이었다. 줄배는 이제 사용하지 않아도 섶다리는 요즘도 제법 쓸모가 있다. 특히 가끔 찾아드는 관광객들에게도 섶다리는 인기가 있다.
섶다리는 잡목의 잔가지로 엮어서 만든 나무다리다. 나무는 Y자형의 소나무를 일곱 자 간격으로 양쪽에 박고 싸릿가지를 엮은 바자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바닥에 솔가지를 깔고 흙을 다져서 바닥을 만들었다. 이렇게 놓은 섶다리는 못을 하나도 쓰지 않고 도끼와 끌로만 기둥과 들보를 맞추었다. 주로 추수가 끝난 늦가을에 다리를 놓는데, 겨울 지나 이듬해 장마가 들기 전까지 사용했다.
선암마을 오가는 길목에 자리한 영월 책박물관은 폐교된 분교를 개조해 1999년 개관했다. 설립자인 박대헌 관장이 소장한 책 2만여 점으로 꾸민 상설전과 특별전이 볼거리다. 한때 적자가 심해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으나 지인들의 도움으로 이어갈 수 있었다. 1960년대까지의 어린이 교과서와 동화책, 만화책 등의 어린이 관계 자료를 찬찬히 구경하다 보면 옛 추억이 아련히 다가온다.
![]() |
청령포로 유배 온 단종이 눈물 흘리며 우는 소리를 보고 들었다고 전해지는 관음송. |
선돌기암이 솟아있는 소나기재
책박물관을 나와 배일치 터널을 지나면 영월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소나기재. 단종이 영월로 유배당하면서 이 고개를 넘을 때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졌다고 해서 불리는 이름이다. 고갯마루에 차를 대고 평탄한 오솔길을 잠시 걸어 들어가면 까마득한 낭떠러지와 ‘선돌’이라는 커다란 기암이 반긴다.
선돌기암은 선암마을의 한반도 지형과 더불어 서강에서 쌍벽을 이루는 경관을 자랑한다. 지질학에선 선돌은 바위 안에 자갈이 들어 있는 역암이라 매우 단단해 침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라 설명한다. 우뚝 솟은 선돌 너머로는 크게 호를 그리며 흘러가는 서강 물줄기가 내려다보인다. 한창 농사 준비에 바쁜 강마을이 정겹다.
소나기재를 내려서면 장릉(莊陵)이다.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 당하고 영월로 유배왔다가 죽임을 당한 단종을 모신 묘다. 단종의 억울한 넋이 깃들어 있는 이 고을을 찾는 이라면 누구나 장릉에 들러 예를 갖춘다. 영월엔 장릉 외에도 단종과 관련된 유적과 지명이 즐비하다. 소나기재를 비롯해 군등치, 배일치 등의 恣?이름들이 그렇고, 읍내의 자규루, 금몽암, 영모전, 관풍헌, 그리고 청령포 등 모두 단종과 관련있는 유적지다.
단종이 영월로 내몰린 뒤 처음 머물던 청령포는 한쪽만 빼고는 모두 깊은 강물이 가로막고 있는 강변이다. 황포돛을 단 동력선을 타고 강을 건너면 울창한 솔숲이 반긴다. 숲속에는 단종이 머물던 어가를 비롯하여 접근하지 말라는 경고를 적은 금표비(禁標碑), 단종이 서낭당을 만들 듯이 쌓았다는 돌탑 등이 남아있다. 솔숲에서 눈길을 끄는 나무는 천연기념물(제349호)로 지정된 관음송(觀音松). 단종의 유배 생활을 지켜보았고, 단종이 오열하는 소리를 들었다는 소나무다.
* 별미 장릉 옆 골목에 있는 장릉보리밥집(033-374-3986)의 꽁보리밥은 영월 읍내에서 유명한 별미로 꼽힌다. 호박잎, 머위 등 농약을 치지 않고 가꾼 10여 가지 풋풋한 나물을 보리밥에 넣고 쓱쓱 비벼 먹으면 옛 추억을 생생하게 맛볼 수 있다. 1인분 5,000원. * 교통 △중앙고속도로 신림 나들목→88번 국가지원지방도→주천→서면→3km→영월책박물관(우회전)→3km→전망대. △동서울→영월=매일 20여 회(06:30~19:30) 운행, 무정차 3시간, 직행 4시간 소요. △청량리역→영월역=매일 6회(08:00~22:00)운행. 무궁화호(5회) 3시간20분 소요, 새마을호(17:00) 2시간55분 소요. 토ㆍ일요일 새마을호 1회(08:25), 무궁화호 1회(23:00) 증편 운행. △영월→서면(주천행)=매일 8회(05:50 08:30 09:30 11:40 13:40 14:50 17:00 19:30) 운행. 영월교통 033-373-2373 * 숙식 선암마을에는 10여채의 민가가 있지만, 영심이네(033-372-2469) 등 몇 집만 민박을 친다. 마을 안에 식당도 없고, 구멍가게도 없으므로 필요한 물품은 서면이나 주천면 소재지 등에서 미리 구입해야 한다. 청령포 근처에 숙식할 곳이 여럿 있다. |
민병준 여행작가 sanmin@empal.com
‘西江의 한반도’엔 평화가 강물처럼 (0) | 2006.08.31 |
---|---|
영월 ''한반도 마을'' 관통도로 건립논란 (0) | 2006.08.31 |
한반도 지형 선암마을에 무궁화 식재 (0) | 2006.08.19 |
작은 한반도 품은... 영월 2004년 (0) | 2006.08.15 |
[나들이]어린반도 품에 안고 뉘를 기다리나…영•월•冬•畵 (0) | 2006.08.15 |
무궁화가 있는 풍경 (0) | 2006.09.13 |
---|---|
무궁화 꽃이 있는 풍경 (0) | 2006.09.02 |
우리나라 우리가락 2 (0) | 2006.08.24 |
우리나라 우리가락 1 (0) | 2006.08.23 |
아름다운 기도 (0) | 2006.08.23 |
2006. 8. 13.
한반도지형 기념사진 _ 2006년 8월 25일 (0) | 2006.09.02 |
---|---|
한반도지형 기념사진 _ 2006년 8월 31일 (0) | 2006.09.02 |
한반도지형 기념사진 _ 2005년 4월 2일 (0) | 2006.08.23 |
한반도지형기념사진_2006년 8월 23일 (0) | 2006.08.23 |
한반도지형기념사진_2005년 4월 2일 (0) | 2006.08.23 |
무궁화 꽃이 있는 풍경 (0) | 2006.09.02 |
---|---|
무궁화 꽃이 있는 풍경 (0) | 2006.08.25 |
우리나라 우리가락 1 (0) | 2006.08.23 |
아름다운 기도 (0) | 2006.08.23 |
뻐꾹채가 있는 풍경 (0) | 2006.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