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빙벽의 문제점

1. 기계적 풍화작용

특히 겨울에 암석의 틈 속에서 물이 들어가서 얼게 되면 얼음이 쐐기 작용을 하여

암석의 틈을 크게 벌려 놓게 되고, 봄이되면서 얼음이 녹게 되면 중력이 작용하여 원암에서

떨어져 나온다. 해서 봄이 되면 산사태가 많이 일어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해서 얼음이 녹았다 얼었다 하면서 암석의 틈이 벌어지면 암석이 떨어져 나오게 되면

빙벽 사고 뿐만 아니라 한반도 지형이 훼손되게 된다.

2. 석회암의 용해 작용

석회암은 물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와 반응하게 되면 녹아 내린다. 빙벽에 물을 뿌리게 되면

석회암의 틈 속에 물이 들어가서 석회암을 구성하는 방해석이라는 광물이 녹게되면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큰 암석 덩어리가 떨어져 나오는 일들이 발생한다.

이런 작용으로 겨울에 암석에 물을 뿌리게 되면 산 사태가 일어나 원형이 훼손되는 일들이 발생한다.

특히 한반도 지형의 주변 암석이 붕괴 되어 원형이 훼손되면 한반도 지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가 없어진다.

해서 앞으로 이런 일들은 빨리 개선이 되어야 한다.

-------------------------------------------------------------------------------------------

귀중한 자료를 보내주신 춘천교육대학 겸임교수 주국영 (지질학 박사) 님께 감사드립니다.



Posted by 영월서강한반도
,